근화동396 청년창업공간
타기관 소식
[2022 문화도시 조성사업] 창작과정 지원사업 “생각의 탄생” 참여자 모집 공고
구분 | 세부내용 | |
사업내용 | 개인의 예술적 영감을 구체화하고 해석·실천·연결하는 창작과정 | |
과정소개 | (1단계) 창작과정 |
· (워크숍) 창조적 사고를 갖는 N가지 프로그램 과정 · (기 획) 컨설팅을 통해 발견한 생각을 구체화시키는 과정 · (중간발표회) 생각노트(기획의도 및 작품의 방향 등의 기록물) 발표 · (자율예산제) 창작품 지원금액 자율편성 추진 |
(2단계) 실천과정 |
· (작업수행) 구체화된 아이디어를 작품화하는 과정 · (컨 설 팅) 작품의 구성과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 · (결과발표회) 참여 예술가(혹은 단체) 작업 및 프로젝트 발표 ※ 작품 분야 및 규모에 따라 팀 단위 활동 가능 |
|
지원대상/량 | · (지원대상) 춘천시 거주 신진 예술가 및 활동재개 예술가
· (지 원 량) 총 10건(개인 10명) · (지 원 액) 개인 당 1,000,000원 |
|
실천과정 지원 |
· (지 원 량) 총 10건(개인 10명) · (지 원 액) 총 30,000,000원 한도 내에서 자율예산제로 추진 ※ 건당 최대 5,000천원 이내 차등 지급 |
|
참여자 특전 | ▸ 생각의 탄생을 위한 정리노트 제공 ▸ ‘아트살롱 썸’ 예술가 전용 공간 사용지원 ▸ 성과 공유 및 전시 – 작업 및 프로젝트 발표 – 포트폴리오 전시 및 쇼케이스 |
구분 | 일정 | 세부내용 |
1-2회차 | 5/9(월)-5/10(화) 13:00–18:00 |
▸ (기획과정) 공통워크숍
– 대주제 : 몸짓, 소리, 관찰, 기록, 관계 – 장르를 교차하고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공통워크숍 – 개별적으로 본인의 관심사에 따른 2-3주제 선택 및 수행 |
3회차 | 5/16(월) 15:00–18:00 |
▸ (기획과정) 개별적 드로잉 과정
– 생각의 신호, 파편, 이끌림, 충동을 발화 하고 모으고 해체하고 고르고 편집하고 부수고 재조립하는 분야별 워크숍 – 생각의 탄생 책에서 선택한 생각 도구를 활용한 개별적 드로잉 과정 |
4회차 | 5/23(월) 15:00–18:00 |
▸ (기획과정) 구체화 과정
– 구체화 되어가는 상상과 수행의 과정에 용기와 힘을 갖고, 신념과 태도를 만드는 과정 |
5회차 | 5/30(월) 15:00–18:00 |
▸ (기획과정) 프리젠테이션의 기술
– 예술가의 언어, 자신의 언어를 장착하고 자신의 매체(미디엄)를 사용하는 기술 컨설팅 |
6회차 | 6/13(월) 15:00–18:00 |
▸ (기획과정) 개별 컨설팅
– 진부한 표현이나 고정관념을 깨트리는 과정 컨설팅 |
7회차 | 6/20(월) 15:00–18:00 |
▸ (기획과정) 개별 컨설팅
– 작품 의도 및 방향을 설정하는 과정 컨설팅 |
8회차 | 개별 일정 논의 |
▸ (실천과정) 개별 컨설팅 – 분야별 전문가 컨설팅 – 작품의 방향과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 컨설팅(최소 3회) |
9회차 | ||
10회차 |
구분 | 세부내용 | |
사업내용 | 지구 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를 예술인의 관점으로 해석·실천·연결하는 창작과정 | |
과정소개 | (1단계) 창작과정 |
· (워크숍) 도시적 관점을 갖는 N가지 프로그램 과정 · (기 획) 예술활동의 방향을 구체화하는 과정 · (중간발표회) 생각노트(기획의도 및 작품의 방향 등의 기록물) 발표 · (자율예산제) 창작품 지원금액 자율편성 추진 |
(2단계) 실천과정 |
· (작업수행) 구체화 된 아이디어를 작품화하는 과정 · (결과발표회) 참여 예술가(혹은 단체) 작업 및 프로젝트 발표 ※ 작품 분야 및 규모에 따라 팀 단위 활동 가능 |
|
지원대상/량 | · (지원대상) 춘천시 거주 전문 예술가
· (지 원 량) 총 10건(개인 10명) · (지 원 액) 개인 당 1,000,000원 |
|
실천과정 지원 |
· (지 원 량) 총 10건(개인 10명) · (지 원 액) 총 50,000,000원 한도 내에서 자율예산제로 추진 ※ 건당 최대 8,000천원 이내 차등 지급 |
|
참여자 특전 | ▸ 생각의 탄생을 위한 정리노트 제공 ▸ ‘아트살롱 썸’ 예술가 전용 공간 사용지원 ▸ 성과 공유 및 전시 – 작업 및 프로젝트 발표 – 포트폴리오 전시 및 쇼케이스 |
과정 | 일정 | 세부내용 |
1-2회차 | 5/9(월)-5/10(화) 10:00–18:00 |
▸ (기획과정) 공통워크숍
– 대주제 : 몸짓, 소리, 관찰, 기록, 관계 – 장르를 교차하고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공통워크숍 – 개별적으로 본인의 관심사에 따른 2-3주제 선택 및 수행 |
3회차 | 5/16(월) 10:00–13:00 |
▸ (기획과정) 스케치 과정
– 도시적 관점에서 예술활동의 방향성을 생각하고 재해석하는 과정 – 의도적으로 사건(혹은 문제)의 허점을 만들어 끌어들이는 기술 |
4회차 | 5/23(월) 10:00–13:00 |
▸ (기획과정) 구체화 과정
– 상상과 수행의 과정을 잇는 방법론을 만들어가는 과정 |
5회차 | 개별 일정 논의 |
▸ (실천과정) 개별 컨설팅 – 분야별 전문가 컨설팅 – 작품의 방향과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 컨설팅(최소 1회) |
구분 | 지원대상 | 해당자격 |
유형 ① | 신진 예술가 | ▸예술 창작활동을 업으로 하는 예술가로서, 최근 3년 이내 2개 이상 작품활동 이력이 있는 자 |
활동재개 예술가 | ▸질병, 육아, 임신, 출산, 군대, 코로나19 등 불가피한 사정으로 휴지기를 갖고 있는 자 | |
유형 ② | 전문 예술인 | ▸예술 창작활동을 업으로 하는 예술가로서, 7년 이상 작품활동 이력이 있는 자 |
구분 | 심의항목 | 내용 | 배점 |
정성 평가 |
지원의도 | ‧ 프로젝트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도가 명확한가? ‧ 선택한 유형에 대한 신청자의 시각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는가? |
20 |
이해도 | ‧ 사업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가? | 10 | |
성실성 | ‧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관점을 가지고 성실히 참여할 수 있는가? | 10 | |
활동의 타당성 | ‧ 창작 아이디어는 예술인 활동으로 연계될 가능성이 있는가? | 10 | |
수행능력 | ‧ 컨설팅 프로그램을 성실하게 이수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가? ‧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는 의지가 있는가? ‧ 창작 아이디어를 작업화할 수 있는 실천의 여지가 있는가? |
50 |
사업 공고 및 접수 | ⇨ ⇨ |
대면심의 | ⇨ ⇨ |
결과발표 | ⇨ ⇨ |
오리엔테이션 |
홈페이지 게시 | 참여자 인터뷰 심의 | 대면심의 | 사업 안내 참여자 포토폴리오 pt |
|||
3.25.(금) ~ 4.18(월) | 4.25.(월) | 4.28.(목) | 5.2.(월) | |||
⇩ ⇩ | ||||||
결과발표회 | ⇦ ⇦ |
실천과정 및
컨설팅 지원 |
⇦ ⇦ |
생각노트
중간공유회 |
⇦ ⇦ |
기획과정 및
컨설팅 지원 |
예술가 포트폴리오 및 쇼케이스 | 사업 실행 | 생각노트 pt 실천과정 자율예산제 |
사업 실행 | |||
11월 말 | 7월 18일 ~ 11월 중순 | 7월 11일 | 5월 ~ 7월 초 |